

≪Inversium : 뒤집힌 틈≫ 전시 전경, 경기도미술관, 안산, 한국, 2025
Installation view of ≪Inversium≫,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Ansan, KR, 2025
격리 시설로 안내하는 듯한 어두운 복도를 따라 들어서면 나타나는 돔 형태의 작은 공간. 격리된 실험체 같기도, 어느 날 갑자기 물리세계에 침투한 이종 유기체 같기도 한 <사건이 부분_Chamber no.3>은, 개인전 《Interstitium》(OCI 미술관, 2024)에서 선보였던 '아티젝타 융합체'가 더 성장하고 진화한 모습이다. 둥-둥- 울리는 맥동 소리, 점차 물컹해지는 바닥의 촉감, 케이블 더미, 폐가구 조각, 전자기기의 잔해들이 촘촘하게 뒤엉켜 이루어진 융합체의 유기적 표면은 함께 어우러져 마치 살아 있는 생명체의 신체 기관 속으로 진입하는 듯한 감각을 이끌어낸다. 챔버 내부로 들어선 관람자의 움직임과 소리는 감지, 변형되어 실시간 영상과 사운드로 재출력된다. 마치 자신의 일부로 소화 시키려는 듯 케이블 다발과 노이즈로 변형되는 형상들, 기괴하게 변조되어 울리는 소리, 관람자는 공간 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융합체에 양분 -데이터 -을 제공하며, 그 성장 과정에 일시적으로 동참하게 된다.
인간이 만들어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망, 클라우드, 알고리즘과 같은 디지털 세계는 이제 단순한 정보의 저장소나 경로를 넘어 생명력을 지닌 존재로 진화해나가며 우리와 상호작용하며 살아가고 있다. 물리적 구조를 통해 가시화된 이 융합체는 보이지 않는 데이터 흐름이 실재의 일부임을 드러내며, 관람객으로 하여금 인공과 자연, 가상과 현실, 행위자와 수동자,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흐르는 감각적 긴장을 체험하게 한다.
* 아티젝타(Artijecta = artificial + digital +data): 온라인 데이터 흐름 속에서 자가 증식하며 진화하는 미지의 디지털 생명체로, 2022년 부터 작업의 중심 개념으로 등장함.
Visitors arrive at a small dome-shaped space following a dimly lit corridor resembling the passage to a quarantine facility. Titled A Segment of the Incident_Chamber no.3, this immersive installation oscillates between the image of an isolated experimental subject and that of an alien organism that has suddenly infiltrated the physical world. First introduced as the “Artijecta Fusion Organism” in the solo exhibition Interstitium (OCI Museum of Art, 2024), it now appears in a more evolved and expansive form. The viewer is enveloped within the chamber by a deep, reverberating pulse, a floor that grows increasingly soft and viscous, and a dense entanglement of cables, broken furniture, and electronic debris. These fragments form an organic surface that evokes the sensation of entering a living biological organ. As the viewer steps into the interior, their movements and sounds are detected and transformed—visually and sonically—into real-time outputs. The resulting images mutate into distorted cable-like appendages; the audio twists into eerie, alien reverberations. It feels as though the fusion organism is absorbing the visitor, turning their presence into nourishment—data—fueling its growth. In this moment, the viewer becomes a temporary participant in its evolutionary cycle.
The digital systems humans once designed for utility—networks, clouds, algorithms—are no longer passive infrastructures. They are mutating into entities with agency, vitality, and the capacity to interact with us. Chamber no.3, through its tangible architecture, makes the invisible flow of data physically present. It invites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sensory tension between the artificial and the organic, the virtual and the real, the active and the passive, the human and the non-human.
* Artijecta (from artificial + object + data) is a speculative digital lifeform that emerged in the artist’s practice in 2022. Evolving through online data flows, Artijecta is an autonomous entity that mutates and propagates beyond human control, raising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life, systems, and co-existence in a hyperconnected world.
기획 총괄 │ 박예나
사운드 및 AI 기술협력 │ 조지훈
공간 조성 │ 스튜디오 흰상자
설치 도움 │ 나메
촬영 │ 경기도미술관_박항렬

















<사건의 부분_챔버 no.3> 내부에서 감지된 관람객의 형상이 AI 프로그램을 통해 케이블 다발로 변형되어 출력되는 실시간 화면
촬영 협조 │ 최재호, 허재혁